티스토리

jhyoonzi
검색하기

블로그 홈

jhyoonzi

recentr.tistory.com/m

jhyoonzi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gdb 명령어 $gcc –g –o Test Test.cTest.c코드를 컴파일 한 뒤 Test이름으로 파일을 생성합니다.$gdb Testgdb로 Test를 실행하여 디버깅 합니다.$gdb Test 프로세스에 연결한 뒤 디버깅 합니다.(gdb) q(quit)gdb를 종료합니다.(gdb) r(run)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gdb) k(kill)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gdb) l(list)현재 위치에서 10줄의 소스코드를 보여줍니다.(gdb) list 5소스코드에 5번째 줄을 중심으로 보여줍니다.(gdb) list funcfunc 함수의 소스코드만 보여줍니다.(gdb) b(break) funcfunc에 중단점을 지정합니다.(gdb) break 1010번째 라인에 브레이크를 지정합니다.(gdb) break Test.c:mai..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6. 27.
  • [리버싱 기초]어셈블리어 PUSH -> 스택에 값을 저장 PUSH EAX //스택에 EAX값을 넣는다.PUSH 5 //스택에 5를 넣는다 POP-> 스택의 끝에 저장된 값을 가져온다. POP EAX //스택에서 EAX값을 가져온다.POP 5 // 스택에서 5를 가져온다. MOV -> 지정한 값을 지정한 곳에 넣어주는 역할 MOV 목적지, 소스MOV EAX,EBX //EBX에 잇는값을 EAX에 넣는다. MOV명령어의 주의점 1.목적지와 소스는 같은 크기여야한다.2.목적지와 소스는 모두 피연산자 일 수 없다.3.즉시값은 세그먼트 레지스터로 이동 될 수 없다. LEA -> 특정 변수의 주소를 옮기는것입니다. LEA int long 을 예로든다면 long을 int로 주소를 넣는 명령어 입니다. INC -> INC는 값을 1을 증가시켜줍..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6. 16.
  • [리버싱 기초]레지스터 EAX - 산술연산에 사용, 함수 리턴값 저장 EAX 레지스터는 산술연산에 사용함으로 덧셈,뺄셈,곱하기,나누기 등 논리연산을 수행할때 사용되는 레지스터이며 총 32bit 이며 EAX를 반으로 나누면 AX 16bit 가 됩니다. 다시 AX를 나누면 AH와 AL로 나눠지는데 각각 8bit 를 가지게 됩니다. EBX - 베이스, 특정 메모리를 가리키는 포인터 EBX 레지스터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고 EAX와 같이 32bit 이며 EBX를 나누면 BX 16bit 가 됩니다. 또 BX를 나눠도 BH와 BL로 나뉘며 각각 8bit를 가지게 됩니다. ECX - 카운터 코드에 사용 ECX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연산에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f ,while 등 ECX레지스터는 값을 증가시키면서 카운..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6. 16.
  • FTZ 서버 구축(해커스쿨) ftz 9.0 다운 출처 : http://noplanlife.com vmware workstation 다운 위 빨간거클릭하면 다운받을수 있음 위에 vmware_Redhat_9_FTZ.zip 를 다운받습니다 압축풀고 저 빨간색 내모 더블클릭하면 가상머신에 자동으로 올라감 빨간 내모 클릭하면 가상머신 작동함니다 이거나오면 그냥 엔터누르면 넘어감 id = root pw = hackerschool ifconfig 명령으로 inet addr 아이피 그대로 puutty나 xshell 이든 우분투든 상관없는데 아무거나 써도됨 근데 xshell 쓰기때문에 xshell로 설명 그대로 inet addr 적어주면 됨 처음하면 글씨깨지는데 지구모양 - > 자세히 -> Korean(EUC) 하고 다시하면 안깨짐 이 창이 두번나..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5. 28.
  • 랜섬웨어 와 예방법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5. 15.
  • 쉘 이란? [Linux] 쉘 이란 무엇일까? 쉘(shell)은 운영체제의 커널과 사용자의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커널이란 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입니다. 역할 역시 운영체제의 핵심 역할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쉘(shell)의 종류에는 sh,ksh,bash 가 있습니다. Bourne Shell(sh)는 쉘중 가장 기본이되는 쉘입니다. 유닉스의 초기부터 사용되어 온 쉘입니다. Korn shell(ksh)는 bourne shell의 명령어를 모두 인식하여 bourne 쉘을 확장한 쉘입니다.일반적으로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쉘입니다. 명령어 편집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Bourne Again Shell(bash)는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쉘입니다. C shell 과 korn shell의장점을 섞어 만..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31.
  • 포너블 특수권한,권한,심볼릭링크 특수권한에는 SetUID, SetGID, Sticky bit 가 있다. SetUID : 사용자가 파일을 실행시키는동안 파일 소유자 권한을 휙득하는것이다. 만약 소문자 s 대신 대문자 S가 들어간다면 이는 일반권한(접근권한없음)과 같은 의미이다. 권한을 읽을 때 맨 앞에 숫자 4를 붙여서 읽는다. SetGID : 소유 그룹만 접근 가능한 파일에 일반 유저로 접근이 필요할 때 사용한다. 이것도 SetUID와같이 소문자 s 대신 S가 들어간다면 이는 일반권한과 같은 의미이다. 권한을 읽을 때 맨 앞에 숫자 2를 붙여서 읽는다. Sticky bit : 특정 디렉토리를 누구나 자유롭도록 사용할 수 있다. 파일 및 디렉토리 생성은 누구나 가능하다 하지만 삭제는 생성한 유저와 디렉토리 소유자만 가능하다. 이것은 소문..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31.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